고종은 조선을 일본에 팔았을까?

 

 

영상으로도 제작하였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좋댓구알~

 

을미사변 이전과 이후, 고종과 일본의 복잡한 관계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인물이 있습니다.
바로 조선의 마지막 황제, 고종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고종의 미스터리한 죽음에 대해 이야기했었죠.
이번에는 조금 더 깊숙이 들어가, 고종과 일본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흔히 “고종이 조선을 팔았다”는 자극적인 말도 있지만,
정말 그랬을까요? 당시의 정세와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고종의 입장을 다시 짚어보겠습니다.


19세기 말, 동아시아의 판도가 바뀌다

19세기 후반, 동아시아는 혼란의 소용돌이에 휘말립니다.
특히 일본은 1868년 메이지 유신을 통해 봉건 체제를 해체하고 근대화에 성공하면서
군사력과 경제력을 키워 제국주의 국가로 발돋움합니다.

이 과정에서 요시다 쇼인은

 

“일본이 강해지려면 반드시 대륙으로 나아가야 한다.”
는 주장을 펼치며, 이토 히로부미, 오쿠보 도시미치 등 차세대 지도자들에게 큰 영향을 줍니다.

그들의 시선은 한반도, 즉 조선을 향하게 됩니다.

고종은 조선을 일본에 팔았을까?

조선, 일본의 전략적 요충지가 되다

일본은 한반도를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한 발판으로 삼으려 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1904년 러일 전쟁으로 본격화됩니다.

같은 해 2월 23일, 일본은 한일 의정서를 체결하며
조선 내 영토와 군사적 시설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합니다.
사실상 조선의 자주권은 이때부터 급속히 침해되기 시작한 것입니다.


고종은 왜 일본에 돈을 줬을까?

고종은 러일 전쟁 직후,
일본 정부에 18만 원을 기부하며 관계 개선을 시도합니다.
이후에도 6월 18일, ‘군자금’ 명목으로 8만 원을 더 기부했죠.

이에 일본 천황은 고종에게 30만 엔의 거액을 하사합니다.
문제는 이 금전이 조선 황실 운영보다는 개인 소비와 측근들에게 지급된 정황이 있다는 점입니다.

그 자금은 이완용, 박제순, 이지용 등 친일파 대신들에게 ‘보상금’ 형식으로 분배되었고,
이는 단순한 외교 협력 차원을 넘어, 일본과 고종 황실 사이의 정치적 거래였다는 비판을 불러옵니다.


을사늑약과 ‘모순된 고종의 태도’

1905년 을사늑약은 조선의 외교권을 박탈하며
통감부를 설치하고, 일본이 조선 정치를 직접 통제할 수 있는 길을 엽니다.

이 협약에 서명한 인물들은 ‘을사오적’이라 불리는 친일파 대신들이었지만,
그 직전에도 일본은 고종과 대신들에게 기밀 자금 10만 원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공식적으로는 고종이 을사늑약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으나,
그 이면에는 일본과의 모종의 금전 거래와 협력이 존재했던 셈이죠.

이 때문에 고종은

  • 한편으로는 국권 수호를 위한 상징적 저항자,
  • 또 한편으로는 자신의 권력 유지를 위한 실용적 협력자
    라는 모순된 이미지를 지닐 수밖에 없었습니다.

고종은 ‘매국노’였을까?

이런 사실들을 바탕으로 “고종이 조선을 팔았다”는 주장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역사적 맥락 속에서 단순한 흑백논리로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고종은 강대국 사이에서 줄타기를 시도하며,
황권을 지키고 조선을 보전하려는 계산된 외교를 펼쳤습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친일파 대신들과 손을 잡고,
황실 내부의 부패를 방치하거나 조장한 부분은 분명 비판받을 수 있습니다.


고종에 대한 재해석은 필요하다

고종은 비운의 황제이자 정치적 생존자입니다.
을사늑약에 반대하며 끝까지 국권을 되찾으려는 외교적 노력을 했고,
한편으로는 일본과의 협력 속에 자신의 위치를 유지하려 했던 인물입니다.

고종의 선택은 결코 단순하지 않았으며,
그를 바라보는 시선 또한 역사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반영해야 합니다.


마치며

역사는 단순히 ‘맞다, 틀리다’로 나눌 수 없습니다.
고종과 일본의 관계를 통해 우리는
국가의 존망 앞에서 지도자가 어떤 선택을 했고, 그 결과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깊이 성찰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여러분은 고종의 행보를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생존을 위한 외교 전략이었을까요, 아니면 조선을 팔아넘긴 배신이었을까요?

댓글로 의견 나눠 주세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을사늑약 체결 직후의 민족의 반응과 항일 의병의 출현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 공감과 공유 부탁드립니다!

 

 

여전히 풀리지 않은 미스터리, 고종 황제의 죽음

영상으로도 제작하였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좋댓구알~ 대한민국 역사 속엔 아직까지도 의문으로 남아 있는 사건들이 있습니다.그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는 한 인물의 죽음,

newwould.tistory.com